네트워크 계층 구조란?
- 네트워크 계층 구조란 네트워크 통신에 필요한 로직을 역학별로 구분하여 계층화된 구조를 말합니다.
- 대표적인 네트워크 계층 모델로는 ISO(국제 표준화 기구) 에서 정의한 OSI 7계층과 TCP/IP 4계층이 있으며, 계층 구조의 차이는 있지만 서로 동일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표준을 따르고 있습니다.
네트워크 계층 구조가 필요한 이유
- 네트워크 통신에 필요한 로직을 역할별로 계층화하고 특정 계층이 다른 계층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분하여 네트워크 통신에서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되었을 때 보다 쉽게 원인을 찾거나 해결할 수 있습니다.
OSI 7계층
7. 응용 계층 ( Application Layer )
- 최종적으로 송.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해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를 위한 로직을 수행합니다.
사용 가능 프로토콜
- HTTP, FTP, SMTP, DNS 등이 있습니다.
패킷 이름
- 응용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메시지라고 부릅니다.
6. 표현 계층 ( Presentation Layer )
- 송.수신 데이터에 대한 인코딩, 디코딩을 담당합니다.
5. 세션 계층 ( Session Layer )
- 세션 수립, 관리, 파기를 담당합니다.
4. 전송 계층 ( Transport Layer )
- 포트를 이용하여 송.수신 대상이 되는 소켓을 특정할 수 있습니다.
- TCP를 이용할 경우 안전한 송.수신이 가능합니다.
사용 가능 프로토콜
- TCP, UDP
패킷 이름
- TCP는 세그먼트, UDP는 데이터그램으로 부릅니다.
네트워크 장비
- L4 로드 밸런서
3. 네트워크 계층 ( Network Layer )
- 논리적 주소인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해서 목적지 호스트의 네트워크 ID를 식별하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호스트간에 통신을 담당합니다.
사용 가능 프로토콜
- ARP, RARP, ICMP 등이 있습니다.
패킷 이름
- 네트워크 계층에서 생성된 패킷 이름을 IP 패킷으로 부릅니다.
네트워크 장비
- L3 라우터
2. 데이터 링크 계층 ( Data Link Layer )
- 물리적 주소인 MAC 주소를 이용한 노드 대 노드 전송을 담당하며, 트레일러로 추가된 FCS(Frame Check Sequence) 을 통해 이더넷 프레임의 오류를 감지합니다.
패킷 이름
-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생성된 패킷 이름을 이더넷 프레임 으로 부릅니다.
네트워크 장비
- L2 스위치
1. 물리 계층 ( Physical Layer )
- 전기 신호를 물리 신호로 또는 물리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해주는 계층입니다.
TCP/IP 4계층
- TCP/IP 4계층은 아래 사진과 같이 계층 구조의 차이가 있지만, 동일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표준을 따르고 있어 호환됩니다.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CP의 3-way-handshake와 4-way-handshake란? (0) | 2023.02.15 |
---|---|
ARP, RARP, ARP Spoofing 이란? (0) | 2023.02.14 |
DNS( Domain Name System ) 이란? (0) | 2023.01.28 |
STMP, POP3, IMAP 이란? (0) | 2022.12.06 |
TCP 블로킹 소켓 ( Blocking Socket ) 과 넌블로킹 소켓 ( Nonblocking Socket ) 의 차이점 (0) | 2022.10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