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RD(Entity Relationship Diagram)란?

 

  • ERD(Entity Relationship Diagram)는 단어에서 의미하는 그대로 'Entity 개체'와 'Relationship 관계'를 중점적으로 표시하여 데이터 베이스 구조를 한 눈에 알아보기 위해 그려놓는 다이어그램입니다. 개체 관계도라고도 불리며 요구 분석 사항에서 얻은 개체와 속성들의 관계를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


ERD에서 Entity 표기법

 

Entity

 

 

  • Entity는 정의 가능한 사물 또는 개념을 의미합니다.

 

  • 학생과 학생의 취미를 표현할 때, 학생은 유형 Entity, 학생의 취미는 무형 Entity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.

 

  •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을 Entity로 포현할 수 있습니다.




Entity Attribute

 

 

  • Entity에는 개체가 갖고있는 속성(Attribute)를 포함합니다.

 

  •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의 각 컬럼을 Attribute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


Entity Domain

 

 

  • Domain은 속성의 값, 타입, 제약 사항 등의 대한 값의 범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 

  • 사용자 기호에 따라 속성 타입만 그릴수도 있고, 가독성을 위해서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.

 

  • 데이터 타입을 명시할 때, 사용할 데이터 베이스가 지원하는 타입에 맞게 표시합니다.




ERD 키와 제약 조건 표기법

 

기본 키(Primary key)

 

 

  • Primary Key는 속성 앞에 ◆를 기재하여 표현합니다.(ERD 프로그램에 따라 다름)

 

  • Primary Key는 다른 속성들과 구분하기 위해서 구분선을 두기도 합니다.




외래 키(Foreign Key)

 

 

  •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의 Foreign Key를 표현할 때 해당 Foreign Key를 Primary Key로 들고 있는 개체와의 선을 이어주어 관계를 표시합니다.

 

  • 외래 식별자 역시 Key의 일종이라 ERD Entity에서도




NOT NULL

 

 

  • 해당 속성에 들어갈 값에 NULL을 허용하지 않는다면 N 또는 NN을 적습니다.

 

  • NULL을 허용한다면 아무것도 적지 않습니다.




ERD의 Entity 관계 표기법

 

  • Entity간의 관계를 표현할 때 선을 이어주어 표현합니다. 이 때 강한 연결관계 또는 약한 연결관계에 따라서 실선 또는 점선으로 표현합니다.




강한 연결관계(식별자 관계)

 

 

  • FK를 자신의 PK에 사용한다면 강한 연결관계로서 실선으로 관계를 표현합니다.




약한 연결관계(비식별자 관계)

 

 

  • FK를 자신의 속성에 사용한다면 약한 연결관계로서 점선으로 관계를 표현합니다.




ERD Entity 관계의 Cardinality

 

  • 관계가 존재하는 두 Entity 사이에 관계 수를 표현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




ERD 관계 표현 방법

 

 

  • '|' 표시가 있는 곳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개체. (필수)

 

  • 'O' 표시가 있다면 없어도 되는 개체. (선택)

 

  • 이와 같은 표현 방법으로 1:1, 1:N, M:N 등의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.




관계의 선택 기호

 

 

  • 취미를 가지지 않는 학생이 있을 수는 있지만, 취미는 있는데 학생이 없는 경우는 없습니다. 즉, 이러한 경우 취미쪽을 선택 기호를 이용해서 표현합니다.




관계의 필수 기호

 

 

  • 취미가 있다면, 해당 취미를 가진 학생은 반드시 존재해야 합니다. 즉, 어느 한쪽에 존재한다면 다른 쪽은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관계를 필수 관계 기호를 사용해 표현합니다.




'데이터 베이스 > Comm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데이터 모델링(Date Modeling)이란?  (0) 2023.03.17
MySQL과 mongoDB의 차이  (0) 2023.01.14

+ Recent posts